전체 글 51

[Spring Testing] 2회차 스터디

[Spring Testing] 2회차 스터디 일시 : 2023년 1월 12일 (목) 오후 6시 작성자 : 이동환(M) 참여자 : 이동환(M), 정재욱(C), 한승준(M), 임학범(M), 오동재(M), 김원중(M) Spring Testing 스터디의 경우 Spring Testing 이라는 큰 주제 안에서 각자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매 주 스터디 세션 때 각자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는 스터디입니다. 멤버 별 공유 세션 내용 및 기록 이동환(M) : Unit Test, Integration Test Code 작성 회원가입, 로그인 및 토큰 발급과 유효성 검사 Test를 작성하였습니다. 작성하며 배운 점들에 대해서 TIL에 정리하였습니다. Mockito 및 BDDMockito를 활용한 Mocking Unit ..

Study/Backend 2023.01.14

[Spring Testing] 1회차 스터디

[Spring Testing] 1회차 스터디 일시 : 2023년 1월 6일 (금) 오후 6시 작성자 : 이동환(M) 참여자 : 이동환(M), 정재욱(C), 한승준(M), 임학범(M), 오동재(M), 김원중(M) Spring Testing 스터디의 경우 Spring Testing 이라는 큰 주제 안에서 각자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매 주 스터디 세션 때 각자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는 스터디입니다. 멤버 별 공유 세션 내용 및 기록 이동환(M) : SpringBoot Reference를 통한 SpringBoot Testing SpringBoot Reference의 8. Testing을 참고해서 Test 작성법을 공부하였습니다. 8.3.13. Auto-configured Spring MVC Tests 까지 진..

Study/Backend 2023.01.08

[AI Paper Study] #1

AI 논문 스터디 #1 스터디장 : 조완식(M) 작성자 : 조완식(M) 참여자 : 조완식(M), 조우연(M), 홍소연(M), 양지승(M) 본 글은 GDSC 1기, 11월 부터 4주간 진행한 AI 논문 스터디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스터디의 목적부터 서로간 잘 짜여진 발표와 학습보다는 각자 논문에 관한 개인적인 정리 기회 및 AI 하위 분야의 다양한 항목을 접하고자 함에 있기 때문에, 서로 발표에 관한 내용 기록보다는 스스로의 최대한 naive한 comment 수준의 정리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AI Paper Study 11월, AI Paper Study를 시작했다. 본 스터디는 다음과 같은 목적성 및 계획을 가지고 시작했다. 인공지능의 다양한 분야의 논문들을 읽고 공부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보..

Study/AI 2022.12.29

GDG X GDSC Merry Careermas (메리 커리어마스)

[2022 메리 커리어마스: 산타가 미리 두고간 개발자 취준 패키지] GDG x GDSC DevFest, 이번엔 크리스마스!! 행사가 진행되는 2일동안 커리어수업(모의면접, 토크콘서트) & 실습수업(딥러닝, 웹) 진행됩니다. 관심분야가 비슷한 친구들을 만나고, 시니어개발자와 함께 커리어개발도 하고! 너무 행복한 크리스마스 일 것 같지 않나요? 미리 크리스마스를 즐기려면 얼른 참여해보세요! RSVP now! 참고링크: https://festa.io/events/2898 1. 활동 내용 일시 : 2022.12.17(토) ~ 2022.12.18(일) 장소 : 삼성역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417) 참여 : GDSC Ajou Member 2. 활동 사진

외부 행사 2022.12.29

제3회 세미나

일시: 2022년 12월 01일(목) 19:30 장소: 아주대학교 팔달관 325호 연사자: 박시율(C), 우다현(C), 김태윤(C) 1. 박시율(C) - 꿈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 박시율 (C) 님이 자신이 꿈을 찾기 위해 노력했던 경험을 공유해주셨습니다. 실시간 화상회의를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세미나 녹화본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mqQm_Jv55VA 2. 우다현(C) - 코린이에서 오픈소스 컨트리뷰터가 되기까지 우다현(C) 님이 프로그래밍에 대해 어리숙했던 과거에서부터 성장하여 결국에는 오픈소스 컨트리뷰션까지 참여할 수 있었던 경험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세미나 녹화본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_OCKoY9jU-s 3. ..

Seminar 2022.12.28

Flutter Festival with GDSC CAU (Virtual)

안녕하세요!! 😎 이번에 GDSC CAU에서 플러터에 관심이 있는 분들과 함께하는 즐거운 행사를 기획하였습니다!무겁지 않은 분위기에서 플러터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처음 시작하시는 분도, 플러터 개발 경험이 있는 분도 환영입니다! 📢 이런 이야기를 나눕니다! - 플러터와 다트에 관한 기본 개념! - 플러터 경험자의 고민이 녹아있는 세션!! - 플러터 앱에 알맞은 아키텍처!!! - 플러터 개발을 위한 꿀팁!!!! - 모두 함께 플러터 앱을 개발해보는 시간!!!!! 🔰 CoC(Code of Conduct) 우리 같이 지켜요! - 상호 존중은 필수! - 어떠한 차별도 없습니다. - 내 옆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해주세요! - 내 곁의 사람들의 말을 경청해주세요! -모두 적극적으로 행사에 참여해주세요! 📅 ..

외부 행사 2022.12.05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6장. 객체지도

개발책 읽기 스터디 #1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스터디 날짜: 2022.11.27(일) 작성자: 강보영(M) 6장. 객체 지도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것은 모든 것이 변한다는 사실 뿐이다.” 길을 직접 알려주는 방법이 기능적이고 해결 방법 지향적인 접근법이라면 지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구조적이고 문제 지향적인 접근법'이다. 지도는 길을 찾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기능이 아니라 길을 찾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지도는 현재의 목적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즉, 지도는 범용적이다. 지도 은유의 핵심은 기능이 아니라 구조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축하는 편이 좀 더 범용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며 변경에 안정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능을 중심으로 구조를 종속시키는 접근법은 범용적이지 ..

Study/Programming 2022.11.28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5장. 책임과 메세지

개발책 읽기 스터디 #1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스터디 날짜: 2022.11.27(일) 작성자: 정재욱(C) 자율적인 책임 설계의 품질을 좌우하는 책임 객체지향 공동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자율적’인 객체다. 이때 자율적인 객체란 스스로 정한 원칙에 따라 판단하고 스스로의 의지를 기반으로 행동하는 객체다. 객체가 어떤 행동을 하는 유일한 이유는 다른 객체로부터 요청을 수신했기 때문이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객체가 수행하는 행동을 책임이라고 한다. 따라서 자율적인 객체란 스스로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각자 맡은 책임을 수행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적절한 책임이 자율적인 객체를 낳고, 자율적인 객체들이 모여 유연하고 단순한 협력을 낳는다. 따라서 협력에 참여하는 객체가 얼마나 자율적인지가 전체 appl..

Study/Programming 2022.11.28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4장. 역할, 책임, 협력

개발책 읽기 스터디 #1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스터디 날짜: 2022.11.20(일) 작성자: 김민석(M) 4장. 역할, 책임, 협력 협력이라는 것은 객체의 행동 방식을 결정한다. 개별 객체가 아니라 객체들 사이에 이뤄지는 협력이 중요한 것이다. 객체의 모양을 빚는 것은 객체가 참여하는 협력이다. 어떤 협력에 참여하는지가 객체에 필요한 행동을 결정하고, 필요한 행동이 객체의 상태를 결정한다. 협력 -> 행동 -> 상태 4-1. 협력 4-1-1. 요청하고 응답하며 협력하는 사람들 협력의 본질은 요청과 응답으로 연결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다. 협력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할 때 시작된다. 협력은 다수의 연쇄적인 요청과 응답의 흐름으로 구성된다. 4-1-2. 누가 파이를 훔쳤지? 객체지향의 ..

Study/Programming 2022.11.28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3장. 타입과 추상화

개발책 읽기 스터디 #1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스터디 날짜: 2022.11.20(일) 작성자: 정재욱(C) 추상화를 통한 복잡성 극복 추상화란 현실에서 출발하되 불필요한 부분을 도려내가면서 사물의 본질을 드러나게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추상화의 목적은 불필요한 부분을 무시함으로써 현실에 존재하는 복잡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추상화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추상화 어떤 양상, 세부 사항,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 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추상화는 다음의 두 차원에서 이뤄진다.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은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하게 만드는 것.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

Study/Programming 2022.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