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10

[Network] 13회차 스터디 - 네트워크 디자인, 가상화 기술, 가상화 서버를 위한 네트워크

[Network] 13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13장,14장,15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5월 8일(월) 비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김수민(M), 김민석(M), 이채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네트워크 디자인 2계층/3계층 네트워크 2계층 네트워크 2계층 네트워크는 이름 그대로 호스트 간 통신이 직접 2계층 통신만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디자인 2계층 네트워크는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되고 루프 구조가 생기면 문제가 발생하므로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 3계층 네트워크 라우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구조..

[Network] 12회차 스터디 - 로드밸런서

[Network] 12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12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5월 1일(월) 비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김수민(M), 김민석(M), 이채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부하 분산이란?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물리나 가상 서버 한 대로는 모든 서비스를 수용할 수 없게 된다.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4나 L7 스위치라는 로드 밸런서를 통해 부하를 분산한다. 로드밸런서에는 동일한 서비스를 하는 다수의 서버가 등록되고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오면 로드 밸런서가 받아 사용자별로 다수의 서버에 서비스 요청을 분산시켜 부하를..

[Network] 10회차 스터디 - 서버의 방화벽 설정/동작

[Network] 10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10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3월 27일(월) 비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김수민(M), 김민석(M), 이채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방화벽의 활용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서버의 방화벽은 서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최소한의 서비스 포트만 열어둔 채 대부분의 서비스는 차단한다. 방화벽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IP 주소와 서비스 포트에 대해서만 열어주고 나머지는 모두 차단하는 화이트리스트 기반으로 정책을 관리한다. 서버에서 동작하는 방화벽도 마찬가지로 운용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ssh(22..

[Network] 9회차 스터디 - 보안

[Network] 9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9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학기를 맞이하여 멤버를 새롭게 구성하고 진행한 첫 스터디입니다. 일시 : 2023년 3월 21일(월) 비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김수민(M), 김민석(M), 이채민(M), 문다현(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정보 보안의 정의 3대 보안 정의 기밀성(Confidentiality)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정보를 보지 못하게 하는 모든 작업 무결성(Integrity)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 유지 가용성(Availability) 접근 허락 네트워크 보안의 주요 개념 네트워크 보안의 목표는 외..

[Network] 8회차 스터디 - 서버 네트워크 기본

[Network] 8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8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3월 6일(월) 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박현재(M), 김수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 : IP 주소,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 IP 주소 다양한 정보를 많은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것이 번거로워 이런 필수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DHCP 기술이 주로 사용됨 서버의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장비와 같이 서버에서도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음 네트워크 어댑터를 두 개 이상 사용하는 ..

[Network] 7회차 스터디 - 통신을 도와주는 네트워크 주요 기술

[Network] 7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7장을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2월 27일(월) 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이웅희(C), 김다인(M), 박현재(M), 김수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DNS 소개 데이터 프로토콜이 잘 동작하도록 도와주는 컨트롤 프로토콜임.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구조와 명명 규칙 각 계층의 도메인은 “.”으로 경계를 표시함 뒤에서부터 Root(.)(생략함), Top-Level Domain(TLD), Second-Level Domain, Third-Level Domain 최대 128계층..

[Network] 6회차 스터디 - 로드 밸런서/방화벽: 4계층 장비(세션 장비)

[Network] 6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이번 주는 6장 전체와 7장의 일부를 읽어온 후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일시 : 2023년 2월 20일(월) 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이웅희(C), 김다인(M), 박현재(M), 김수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4계층 장비는 TCP와 같은 4계층 헤더에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함, 세션 테이블과 그 안에서 관리하는 세션 정보가 중요함 세션 장비가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요소 세션 테이블 세션 장비는 세션 테이블 기반으로 운영됨 세션 정보를 저장, 확인하는 작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세션 정보는 세션 ..

[Network] 5회차 스터디 - 라우터/L3스위치: 3계층 장비

[Network] 5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일시 : 2023년 2월 13일(월) 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이웅희(C), 김다인(M), 박현재(M), 김수민(M) 1. 우다현 새롭게 알게 된 점 최근 기술의 발달로 라우터와 L3 스위치를 구분하기는 어려움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 경로 지정 라우팅/스위칭 홉-바이-홉 라우팅 라우팅 다이렉트 커넥티드 : IP 주소를 입력할 때 IP 주소와 속한 네트워크 정보를 알 수 있고, 라우터나 PC에서 이 정보로 라우팅 테이블 자동 생성 스태틱 라우팅 : 관리자가 목적지 네트워크와 넥스트 홉을 라우터에 직접 지정 다이나믹 라우팅 : ..

[Network] 2회차 스터디 - 네트워크 연결과 구성 요소

[Network] 2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일시 : 2023년 1월 23일(월) 비대면 진행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이웅희(C), 김다인(M), 박현재(M), 김수민(M) 2장 네트워크 연결과 구성 요소 1. 우다현 (C) 새롭게 알게 된 점 새롭게 알게 된 것이 많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구분, 회선, 장비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구분 LAN WAN MAN 네트워크 회선 인터넷 회선 전송 선로 공유 기술 전용 회선 통신사업자 내부에서 TDM 기술로 통신 품질 보장 저속: 음성 전송 기반 고속: 메트로 이더넷 참고: ..

[Network] 1회차 스터디 - 네트워크 시작하기

[Network] 1회차 스터디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책을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입니다. 일시 : 2023년 1월 16일(월) 오후 7시 스터디장 : 우다현(C) 작성자 : 참여자 모두 참여자 : 우다현(C), 박지윤(L), 이웅희(C), 김다인(M), 박현재(M), 김수민(M) 1. 우다현 (C) 새롭게 알게 된 점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과정에 대해 더 상세하게 알게되었습니다. 집과 데이터 센터에서의 네트워크 구성도 집: 공유기 사용 데이터 센터: 2계층 구성인 스파인-리프(Spine-Leaf) 구조로 변화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의 규약 이더넷-TCP/IP 기반 프로토콜 (스택)로 변화중 OSI 7계층과 TCP/IP 프로토콜 스택 OSI 7계층별 이해 1계층: 물리 계층 ..